주요경제지표

생산자물가지수 (Producers Price Index, PPI) 개념과 이해

2석사 2022. 10. 11. 10:51
728x90
728x90

 

  인플레이션(inflation)이 정점(peak out)을 찍었다고 하지만 좀처럼 물가지표는 내려오고 있지 않은 가운데, 지난 포스팅에서 인플레이션 지표 중 소비자물가지수 (Consumer Price Index, CPI)에 대해 살펴보고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생산자 관점에서 물가 수준을 알아볼 수 있는 생산자물가지수 (Producers Price Index, PPI)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022.07.31 - [CPI 소비자물가지수] - 소비자물가지수 (Consumer Price Index, CPI)

2022.08.10 - [CPI 소비자물가지수] - 소비자물가지수 (Consumer Price Index, CPI) 2022.08.10 발표

2022.09.14 - [CPI 소비자물가지수] - 소비자물가지수 (Consumer Price Index, CPI) 2022.09.13 발표

 


생산자물가지수 (Producers Price Index, PPI) 개념과 이해

 

생산자물가지수 (Producers Price Index, PPI)란?

  

  생산자물가지수 PPI는 '국내 생산자가 국내(내수) 시장에 공급하는 상품의 가격 및 서비스의 요금을 경제에서 차지하는 중요도를 고려하여 평균한 종합적인 가격 수준을 지수 화한 통계를 말한다.'라고 한국은행에서 정의하고 있습니다.

 

즉, PPI는 생산자가 시장에 공급하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위해 구매하거나 소비하는 물가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돼지고기 생산자물가지수라고 하면 정육점 (생산자)에서 시장에 돼지고기(상품)를 공급하기 위해 도매시장에서 '한돈'을 구매할 때 고깃값, 유통, 기타 비용 등을 소비하는 물가를 지표화 한 것이라 생각할 수 있습니다.

 

생산자물가지수가 상승한다는 것은 시장에 공급되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위한 비용이 올라간다는 것이며, 이는 그대로 소비자들이 구매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원가에 반영되어 소비자물가지수 CPI가 상승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생산자물가지수 한국은행이 891개 품목 (2022년 기준)을 대상으로 매달 1회 조사하여 각 품목별로 가중치를 반영하여 집계합니다. PPI는 생산에 필요한 비용과 원가의 가격 변동을 파악할 수 있으며, 2015년 가격을 100으로 기준하여 높고 낮음을 판단합니다.

 


 

미국 생산자물가지수 PPI

 

  우리나라와 비슷하게 역시 미국에서도 매달 생산자물가지수 PPI를 발표합니다. 산출 품목(10,000개 이상)이나 방식에서 차이가 있지만 미국은 노동통계국(U.S. Bureau of Labor Statistics)에서 조사해서 집계합니다. 노동통계국 홈페이지 (https://www.bls.gov/home.htm)에서 ECONOMIC RELEASES > Latest Releases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U.S. Bureau of Labor Statistics

PPI for final demand advances 0.4% in September; services and goods both rise 0.4% The Producer Price Index for final demand increased 0.4 percent in September. Prices for final demand services and for final demand goods both rose 0.4 percent. The index fo

www.bls.gov

 

지난 9월 14일에 발표된 8월 보고서는 https://www.bls.gov/news.release/ppi.nr0.htm 에서 바로 볼 수 있습니다. 

 

생산자물가지수 (Producers Price Index, PPI) 개념과 이해
생산자물가지수 (Producers Price Index, PPI) 개념과 이해

 

각 항목에 대한 내용은 9월 PPI가 발표되고 나서 다음 포스팅에서 상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소비자물가지수 CPI와 생산자 물가지수 PPI

 

  앞서 언급하였듯이 생산자물가지수 PPI는 소비자물가지수 CPI를 선행하는 지표가 될 수 있는데요, 돼지고기 정육점 사장님이 도매시장에서 '한돈'을 구매하는데 비용이 올라가거나 가전제품 부품이나 원자재를 수급하는데 비용이 올라가면 제품이나 서비스 원가에 그대로 반영되어 가격이 올라갑니다. 그러면 당연히 소비자들이 구매할 때 물가가 상승하고 소비자물가지수 CPI에 반영되기 때문에 PPI 역시 경기를 전망하는 주요 경제지표로 인식됩니다.

 

CPI와 PPI의 지수 추이가 비슷하기 때문에 PPI를 기반으로 CPI를 어느 정도 예측해 볼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하여 지난 12개월 동안의 발표일을 찾아보았습니다.

 

아래 2021년 10월부터 1년 동안 발표된 PPI와 CPI를 보면 대부분 CPI가 먼저 발표되고 PPI가 발표되었습니다? (선행지표 역할을 할 수 있는 거야??) 그런데! 이번 주 발표될 가장 중요한 9월 소비자물가지수 CPI에 앞서 내일 10월 12일 21:30에 9월 생산자물가지수 PPI가 먼저 발표됩니다. (아.. 수요일부터 긴장해야 겠군요..)

 

[생산자물가지수 PPI]

생산자물가지수 (Producers Price Index, PPI) 개념과 이해

 

[소비자물가지수 CPI]

생산자물가지수 (Producers Price Index, PPI) 개념과 이해

 


 

오늘은 생산자물가지수 (Producers Price Index, PPI)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얼마 전 OPEC+는 원유생산 감산 합의를 하고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은 더 심화되고 있어 증시 상황이 매우 안 좋습니다. 미국 증시뿐만 아니라 코스피도 하락을 이어가고 있는데요, 이번 주는 소비자물가지수 CPI가 발표 예정이라 더 걱정됩니다.

 

그전에 10월 12일 (수) 내일 생산자물가지수 PPI가 먼저 발표되니 어떤 결과가 나올지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다들 성투하시길 바랍니다~

 

긴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추가적인 관련된 내용이나 좋은 의견 있으면 언제든지 댓글로 남겨주세요 ^^

 

 

▼ 10월 2주차 (10/10 - 10/15) 경제 주요지표 일정 확인하기  

2022.10.08 - [경제지표 일정] - 주요 경제지표 일정 (10/10 - 10/15): 미국/독일/중국 CPI, 영국 GDP, 고용지표, 한국 금통위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