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728x90

경제지표 일정 5

주요 경제지표 일정 (10/24 - 10/28): 미국 GDP, 개인소비지출 PCE, 유럽중앙은행 ECB, 마킷 PMI

2022년 10월 4주차 (10/24 - 10/28) 주요 경제지표 일정 증시는 지난주 최저점을 형성하고 급등과 급락을 반복하면서 횡보장세를 보이고 있는데요, 미국 연준 FED의 피봇이 언제 보일지 기대심리로 인해 경제지표에 따라 'Bad News is Good NeWs'로 움직이는 장세는 서서히 벗어나는 듯 보입니다. 하지만 여전히 주요 경제지표는 증시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습니다. 아래는 2022년 10월 4주차 경제지표 일정입니다. 여러 지표 중에 개인적으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지표를 중심으로 확인하고 있으니 참고 부탁드립니다. 이번 주는 10월 27일(목)에는 ECB 통화정책 회의가 있습니다. 달러인덱스 (Dollar Index, DXY)가 여전히 높아..

경제지표 일정 2022.10.23

주요 경제지표 일정 (10/17 - 10/21): 미국 주택판매 건수, 유럽 CPI, 중국 GDP

2022년 10월 2주차 (10/11 - 10/14) 증시 리뷰 저번 주에는 고대하던 소비자물가지수 (Consumer Price Index, CPI)가 발표되었습니다. CPI 발표 전날 10월 12일 발표된 생산자물가지수 (Producers Price Index, PPI)가 먼저 발표되면서 CPI가 좋지 않을 거란 예측을 어느 정도 할 수 있었는데요, 10월 13일 CPI가 8.2%로 발표되면서 모든 증시, 채권, 외환 자산이 순간 충격을 받았습니다. S&P 500 기준 3500도 깨고 하락하였지만, 알 수 없는 힘에 의해 3669.91까지 끌어올리면서 2.60% 상승으로 마감하였습니다. 상승에 대한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었지만, 사실 모두 추측만 내놓을 뿐 아무도 정확한 이유는 짚어내지 못한 듯합니다...

경제지표 일정 2022.10.17

주요 경제지표 일정 (10/10 - 10/15): 미국/독일/중국 CPI, 영국 GDP, 고용지표, 한국 금통위

2022년 10월 첫째 주 (10/03-10/07) 증시 리뷰 이번 주의 키워드 (keyword)는 'Bad news is Good! news'입니다. 시작은 또 영국이긴 한데.. 영국이 전 세계 금융시장에 혼돈을 일으킨 감세정책 일부를 철회한다는 뉴스로 상승하기 시작해서 10/3 (월)에 발표된 미국 ISM 제조업 PMI가 50.9로 예측치보다 낮게 나와 큰 폭의 상승 마감하였습니다. 기세를 이어 10/4 (화)에 발표된 미국 노동부 JOLTs (Job Openings and Labor Turnover Survey)에서 8월 구인수(Job openings)가 1,005만 건으로 7월 대비 약 111만 건이나 하락한 것이 노동시장의 둔화를 기다렸다는 듯이 증시는 폭발하여 이틀 연속 급등하여 마감하였습니다..

경제지표 일정 2022.10.08

주요 경제지표 일정 (10/3 - 10/8): 미국/유럽 PMI, 미국 실업률, 고용지표

2022년 9월 넷째 주 (9/26-9/30) 증시 리뷰 저번 주는 영국이 주인공이었습니다. 영국 새 정부의 감세정책 후 영란은행의 채권 매입 발표로 일주일 내내 관련 뉴스로 증시가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다가 9/30 금요일 S&P 500 기준 3600을 깨고 3585.62로 마감하였습니다. 나스닥도 10,000이 위태한 상황인데 국제 정세와 경제상황에 관한 뉴스는 부정적인 내용으로 도배되기 시작한 것 같습니다. 증시의 바닥을 논하기에는 미국 연준 FED의 기준금리 인상 기조가 끝을 보이지 않기 때문에 한참 멀었지만.. 사람들의 공포와 세상 망할 것 같은 뉴스가 시작되는 점은 맞는 것 같습니다. 지난주에 발표된 주요 지표는 미국 GDP, 신규주택 판매, 소비자신뢰지수 CSI, 신규실업수당 청구, 개인소비지..

경제지표 일정 2022.10.02

주요 경제지표 일정(9/26 - 9/30): 미국 PCE, 독일 영국 GDP, 중국 PMI

2022년 09월 넷째 주 주요 경제지표 일정 인플레이션의 정점(peak out)은 확인하였다고 하지만 쉽게 하락하지 않는 상황에서 각 국의 중앙은행들은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에 따라 이례적인 인상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에 발작하듯 환율 급등과 원자재 하락, 증시 폭락이 이어지고 있는 불안한 상황에서 미국의 경제상황과 각 국의 경제현황을 한눈에 보기 위해 일정을 정리하여 함께 보려고 합니다. 아래는 2022년 9월 넷째 주 경제지표 일정입니다. 여러 지표 중에 지극히 개인적으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지표이니 참고 부탁드립니다. 제 계좌는 이미 경기침체를 맞고 있기 때문에 무슨 소용이 있나 생각되지만... 이럴 때일수록 정신 차리고 언제 기회가 올지 잘 추적하고 있어야 된다는 생각입니다. 아래 링크는 각 지..

경제지표 일정 2022.09.2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