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728x90

FED 16

미국 신규 실업수당청구 건수 (Initial Jobless Claims): 2022년 10월 20일 발표

미국 신규 실업수당청구 건수 (Initial Jobless Claims): 2022년 10월 20일 발표 10월 2주차 (~10/15) 미국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214,000 건으로 지난주 226,000 (228K에서 개정) 대비 12,000건 감소하였습니다. 2주 연속 상승 후 잠시 주춤하는 모습인데요, 단기간 추이만 보고 판단하기는 힘들지만 미국의 고용 현황은 쉽게 나빠지지 않는 것으로 보입니다. 10월 20일 발표된 자료는 https://www.dol.gov/sites/dolgov/files/OPA/newsreleases/ui-claims/20222053.pdf에서 바로 보실 수 있습니다. 실질적으로 매주 집계되는 수치가 변동폭이 크고 단기간 추이만으로는 판단하기 어렵기 때문에 4주 이동평균..

주요경제지표 2022.10.20

건축 승인(허가) 건수 (Building Permits) 개념과 이해

지속되는 미국 연준 FED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경기둔화가 진행되고 있다는 분석이 주를 이루고 있는데요, 블룸버그 (Bloomberg)에서는 내년 경기침체에 빠질 확률이 100%라고 충격적인 발표를 하였습니다. 이런 어려운 환경에서 경기 상황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투자방향을 잘 결정하기 위해 주요 경제지표를 알아보고 있습니다. 오늘은 신규주택 판매 (New Home Sales)와 같이 주택시장의 현황을 알 수 있는 건축승인 건수(Building Permits)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美 경제 1년내 침체 빠질 확률 100%” 미국 경제가 100%의 확률로 침체 빠질 것이라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17일(현지 시간) 블룸버그이코노믹스는 13개 지표를 이용한... www.sedaily.com 건축허가 및..

주요경제지표 2022.10.19

소매판매지수 (Retail Sales Index, RSI) 개념과 이해

전 세계 각 국의 중앙은행들이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기준금리 인상을 진행하는 가운데, 인플레이션과 금융정책 영향으로 경기가 둔화되고 있는 상황을 경기지표로 확인하고 있습니다. 대부분 주요 국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경제지표들을 발표하기 때문에 주요 경제지표들을 알아두는 것은 경기동향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지난 포스팅에서는 물가를 나타내는 물가지표 소비자물가지수 CPI, 생산자물가지수 PPI, 개인소비지출 PCE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오늘은 사람들이 실생활에서 밀접하게 소비하는 소매품 판매에 대한 지표인 소매판매지수 (Retail Sales Index, RSI)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022.07.31 - [CPI 소비자물가지수] - 소비자물가지수 (Consumer Price Index, CPI..

주요경제지표 2022.10.18

미국 신규 실업수당청구 건수 (Initial Jobless Claims): 2022년 10월 06일 발표

지난 포스팅에서 신규 실업수당청구 건수(Initial Jobless Claims)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말 그대로 퇴직한 사람들이 신규로 실업수당을 신청한 수를 말한다고 하였습니다. 미국 노동부에서 일주일간 접수된 실업수당 건수를 집계하여 목요일마다 발표하고, 통계자료는 미국 노동부 (https://www.dol.gov/)에서 상단 메뉴 NEWS > News Releases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어제 2022년 10월 6일 발표된 자료는 https://www.dol.gov/sites/dolgov/files/OPA/newsreleases/ui-claims/20221978.pdf 에서 바로 보실 수 있습니다. Home | U.S. Department of Labor The Good Jobs Initia..

주요경제지표 2022.10.07

ADP 비농업 고용변화 (ADP Non-Farm Employment Change)

계속해서 미국의 고용지표에 대해 알아보고 있는데요, 미국 연준 FED는 '최대고용과 물가안정' 책무를 목표로 하고 있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발표되는 고용보고서는 중요한 참고 지표입니다. 오늘은 미국 노동부 발표가 아닌 민간 조사기관 ADP의 비농업부문 고용변화(ADP Non-Farm Employment Change)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지난 포스팅에서는 신규 실업수당청구 (Initial Jobless Claims) 건수와 미국 노동부 구인, 이직 보고서 (Job Openings and Labor Turnover Survey, JOLTs)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두 지표 모두 설문조사가 아닌 실제 집계 데이터라는 게 중요 포인트였는데요, 그만큼 통계적 오차 없이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 파워풀하다..

주요경제지표 2022.10.06

ISM 비제조업 (서비스) 구매관리자 지수 PMI 2022년 10월5일 발표

지난 10월 3일에 발표된 ISM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 (Purchasing Manager Index, PMI) 발표에 이어 10월 5일 오늘 23:00에 ISM 비제조업 (서비스) PMI가 발표되었습니다. 9월 미국 비제조업 PMI는 56.7로 이전 8월 56.9 대비 0.2 소폭 하락하였지만 거의 변동이 없으며, 예측치 56.0에 비해 높게 나왔습니다. 이전 9월 23일 발표된 마킷 (Markit) 서비스 PMI에서도 49.3으로 (49.2에서 개정) 예측치보다 높게 나와 미국 경제가 여전히 강한가? 하고 걱정스럽게 포스팅을 하면서 언급한 적이 있는데요.. 2022.09.24 - [PMI 구매관리자 지수] - PMI 구매 관리자 지수 2022.09.23 발표: 미국 경제 강하다! 2022.10.03 ..

ISM 제조업 구매 관리자 지수 PMI 2022년 10월 3일 발표: 미국 경제도 주춤?

연속된 미국 연준 FED의 기준금리 인상에도 불구하고 최근 발표된 미국 경제지표는 대부분 양호한 상황에서 어제 9월 ISM 제조업 구매관리자 지수 (Purchasing Manager Index, PMI)가 발표되었습니다. 지난 9월 23일에 발표된 마킷(Markit) 제조업 구매관리자 지수는 51.8로 "미국 경기가 나쁘지 않구나..!"라고 판단할 수 있는 수치가 나왔었습니다. 유럽, 독일, 영국의 제조업 구매관리자 지수는 모두 50 이하로 계속 감소하고 있는 추세라 오히려 미국 경기가 상대적으로 강해 보이기까지 하였습니다. 하지만 어제 PMI 발표는 모두가 기다리는 방향으로 나온 듯 발표 시점을 기점으로 증시와 채권이 모두 급등하였습니다. 2022.08.02 - [PMI 구매관리자 지수] - 구매 관리..

미국 신규 실업수당청구 건수 (Initial Jobless Claims) 개념과 보는 방법

경기침체가 다가오고 있다는 우려와 함께 매일같이 하락하는 증시를 바라보며.. 미국 연준 FED의 기준금리 인상은 도대체 언제까지 지속될 것인가?! 가 최대 관심사입니다. 인플레이션을 막기 위해서 시작된 금리인상이니 당연히 인플레이션 관련 경제지표인 소비자물가지수 CPI 및 개인소비지출물가 지수 PCE가 낮아지는 것에 집중하는 동시에 "고용이 튼튼하니 금리인상을 지속할 수 있다."라는 내용을 한 번쯤은 들어보셨을 겁니다. '최대고용과 물가안정'이라는 FED의 책무에서도 볼 수 있듯이 고용지표는 FED가 금리 결정을 할 때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입니다. 오늘은 미국의 고용상황을 알 수 있는 신규 실업수당청구 건수 (Initail Jobless Claims)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022.09.14 - [C..

주요경제지표 2022.10.03

주요 경제지표 일정 (10/3 - 10/8): 미국/유럽 PMI, 미국 실업률, 고용지표

2022년 9월 넷째 주 (9/26-9/30) 증시 리뷰 저번 주는 영국이 주인공이었습니다. 영국 새 정부의 감세정책 후 영란은행의 채권 매입 발표로 일주일 내내 관련 뉴스로 증시가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다가 9/30 금요일 S&P 500 기준 3600을 깨고 3585.62로 마감하였습니다. 나스닥도 10,000이 위태한 상황인데 국제 정세와 경제상황에 관한 뉴스는 부정적인 내용으로 도배되기 시작한 것 같습니다. 증시의 바닥을 논하기에는 미국 연준 FED의 기준금리 인상 기조가 끝을 보이지 않기 때문에 한참 멀었지만.. 사람들의 공포와 세상 망할 것 같은 뉴스가 시작되는 점은 맞는 것 같습니다. 지난주에 발표된 주요 지표는 미국 GDP, 신규주택 판매, 소비자신뢰지수 CSI, 신규실업수당 청구, 개인소비지..

경제지표 일정 2022.10.02

천연가스 (Natural Gas) 재고량 2022.09.22 발표: 수요둔화 반영?

이번 주는 미국 연준 FED의 기준금리 인상에 모든 시선이 집중되어 천연가스(Natural Gas)가 하락하는지 주의 깊게 살펴보지 못하였는데요, 미국의 기준금리는 또 한 번 자이언트 스텝 75bp 인상하여 벌써 3.00~3.25%까지 상승하였습니다. 이에 반해 주요 원자재 천연가스는 이번 주에 꽤 많은 하락을 하였는데요, 해외선물 'Natural Gas 2022년 10월물'의 일봉 차트를 함께 보겠습니다.  지난주에 미국 철도화물 파업으로 인해 9/14일 긴 장대 양봉 후 바이든의 극적인 협상 결과 파업 철회하여 연속으로 긴 음봉을 만들며 하락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주초반에는 횡보를 하였으나 결국 9/22 (목) 종가기준으로 $7.090까지 빠지면서 하루에 8.87% 하락을 보였습니다. ..

천연가스 2022.09.23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 (Consumer Sentiment Index, CSI)

[2022년 10월 14발표 업데이트] 쉽게 꺾이지 않는 인플레이션(Inflation)으로 미국 연준 FED의 기준금리 인상은 계속되고 있지만 미국의 경기지표는 의외로 선방하고 있습니다. 계속해서 CPI(소비자물가지수), PMI(구매관리자 지수), 신규주택 판매지수 같은 다양한 경기지표들을 알아보고 있는데요, 오늘은 미시간대 소비자심리 지수 (Consumer Sentiment Index, CSI)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주요경제 지표 알아보기 2022.07.31 - [CPI 소비자물가지수] - 소비자물가지수 (Consumer Price Index, CPI) 2022.08.02 - [PMI 구매관리자 지수] - 구매관리자 지수 (Purchasing Manager Index, PMI)란? 2022.07...

주요경제지표 2022.09.16

천연가스 (Natural Gas) 재고량 2022.09.15 발표: 미국 화물 철도 파업

금주는 소비자물가지수 (Consumer Price Index, CPI) 발표로 인해 증시가 시끄러웠는데요, 천연가스 (Natural Gas) 역시 급등과 폭락이 있었습니다. 해외선물 'Natural Gas 2022년 10월물'의 일봉 차트를 보면 9/14에 긴 장대 양봉 후 바로 9/15에 상승분을 모두 반납하는 장대 음봉을 그렸습니다. 이번 급등과 폭락의 원인으로는 미국 화물 철도의 파업을 주요 원인으로 보고 있습니다. 파업 위기로 14일에 10월물 종가 기준 $9.115로 전날 대비 10.02% 상승하였다가 바이든의 극적인 협상으로 인해 15일에 $8.325로 다시 8.67% 하락하였습니다.   이번 급등과 폭락에 대해서 다양한 의견이 있지만 삼성선물에서도 주요 원인은 미국 화물철도 파업에 집중하고 ..

천연가스 2022.09.16

소비자물가지수 (Consumer Price Index, CPI) 2022.09.13 발표

인플레이션이 지속되는 가운데 주요 경제 지표 중 하나인 소비자물가지수(Consumer Price Index, CPI)를 매달 초에 리뷰하고 있습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CPI는 생활에 필요한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나타내는 물가를 반영하는 지표 정도로 설명하였는데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 참조 부탁드립니다. 소비자물가지수 (Consumer Price Index, CPI) 전염병, 원자재 가격 상승, 전쟁 등의 이유로 발생하고 있는 인플레이션은 연일 상상 그 이상의 물가상승으로 나타나고 있는데요.. 인플레이션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인 소비자물가지수 CPI(C s-investor.tistory.com 9월 13일 어제 8월의 미국 CPI를 발표하였습니다. 지난 7월 미국 CPI가 작년 대비 8.5%..

개인소비지출(Personal Consumption Expenditure, PCE) 물가지수

인플레이션이 지속되면서 시장의 경제상황을 알 수 있는 지표들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데요, 지난번에는 인플레이션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인 소비자물가지수 CPI(Consumer Price Index)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CPI도 중요한 지표이지만 미국 연준 FED가 기준금리 결정에 참고하는 지표는 개인소비지출(Personal Consumption Expenditure, PEC) 물가지수라고 알려져 있어서 오늘은 PCE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 소비자물가지수 CPI(Consumer Price Index) 알아보기 2022.07.31 - [CPI 소비자물가지수] - 소비자물가지수 (Consumer Price Index, CPI) 개인소비지출(Personal Consumption Expenditur..

주요경제지표 2022.08.12

소비자물가지수 (Consumer Price Index, CPI) 2022.08.10 발표

지난 포스팅에서 소비자물가지수(Consumer Price Index, CPI)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간단하게 생활에 필요한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나타내는 물가를 반영하는 지표 정도로 설명하였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 참조 부탁드리며, 8월 10일 지난 7월의 미국 CPI를 발표하였습니다. 소비자물가지수 (Consumer Price Index, CPI) 전염병, 원자재 가격 상승, 전쟁 등의 이유로 발생하고 있는 인플레이션은 연일 상상 그 이상의 물가상승으로 나타나고 있는데요.. 인플레이션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인 소비자물가지수 CPI(C s-investor.tistory.com 7월 미국 CPI는 전월 대비 0.0%로 상승도 하락도 없었는데요.. 6월 1.3% 대비 감소하였고, 예상치 ..

채권과 기준금리 (1)

전 세계 인플레이션으로 미국 연준 FED의 기준금리 인상은 채권 수익률(Bond yield) 역시 많은 상승을 야기하였습니다. 그 결과 채권 가격은 하락하였는데요, 오늘은 채권 수익률과 채권 가격의 상관관계와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결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채권 수익률, 즉 채권 금리와 채권 가격의 상관관계를 이해해야 하는데, 결론적으로 채권 금리와 채권 가격은 반대로 움직입니다. 채권금리 상승 : 채권가격 하락 채권금리 하락 : 채권가격 상승 을 기억하셔야 합니다. 당연히 반대로 채권 가격 상승은 채권금리 하락을 의미합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 '채권'을 발행할 때 고정금리이고, 해지가 불가능한 정기예금 상품 정도로 생각하면 도움이 됩니다. 단, 이 정기예금 상품은 시장에서 서로 매매가 가능하다고..

채권 2022.07.3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