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경제지표

미국 PPI, 생산자물가지수 (Producers Price Index): 2022년 10월 12일 발표

2석사 2022. 10. 13. 10:34
728x90
728x90

 

  앞선 포스팅에서 생산자물가지수 (Producers Price Index, PPI)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생산자가 시장에 공급하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위해 구매하거나 소비하는 물가를 말합니다. 도매 비용이나 물류, 운송 등의 비용을 생각하시면 됩니다.

 

PPI 변동은 소비자들이 구매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원가에 반영되어 소비자물가지수 (consumer price index, CPI)를 선행하는 지표로 볼 수 있다고 했었는데요, 예정대로 9월 미국 PPI가 어제 발표되었습니다.

 

9월 미국 생산자물가지수 PPI 리포트는 https://www.bls.gov/news.release/ppi.nr0.htm에서 바로 볼 수 있고, 인베스팅(investing.com)에서도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2022.10.11 - [주요경제지표] - 생산자물가지수 (Producers Price Index, PPI) 개념과 이해

 

생산자물가지수 (Producers Price Index, PPI) 개념과 이해

인플레이션(inflation)이 정점(peak out)을 찍었다고 하지만 좀처럼 물가지표는 내려오고 있지 않은 가운데, 지난 포스팅에서 인플레이션 지표 중 소비자물가지수 (Consumer Price Index, CPI)에 대해 살펴보

s-investor.tistory.com

 


미국 PPI, 생산자물가지수: 2022년 10월 12일 발표

 

9월 미국 생산자물가지수 PPI: 2022년 10월 12일 발표

 

미국 PPI, 생산자물가지수 (Producers Price Index): 2022년 10월 12일 발표

 

  2022년 10월 12일 21:30에 발표된 9월 미국 PPI는 8.5%로 지난 8월 8.7% 대비 0.2% 감소하긴 하였지만 예측치 8.4%보다 높게 나왔습니다. 7월 -0.4%, 8월 -0.2%로 감소하던 추세는 9월에는 전월 대비(MOM) 0.4%로 심지어 상승하였고, 예측 0.2% 보다도 더 큰 폭으로 증가하였습니다.

 

Total final demand (전체 최종 수요)는 Final demand goods (최종 수요품)과 Final demand services (최종 수요 서비스)로 구분됩니다. 먼저 Final demand goods (최종 수요품)부터 살펴보면

 

미국 PPI, 생산자물가지수 (Producers Price Index): 2022년 10월 12일 발표

 

맨 아래쪽에 각각 항목에 대한 9월 MOM 지수가 나와있고, Final demand goods에서 Foods (식품)와 Energy (에너지)에서 1.2, 0.7 증가를 보였습니다. 두 항목을 뺀 수치는 0.0으로 전체에서 식품과 에너지만 상승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역시 전 세계적으로 식품과 에너지 공급망 이슈는 여전히 문제인 것으로 나타나는 듯합니다.

 

다음으로 Final demand services (최종 수요 서비스)를 살펴보면

 

미국 PPI, 생산자물가지수 (Producers Price Index): 2022년 10월 12일 발표

 

역시 맨 아래쪽 9월 MOM 지수를 보면 Transportation and warehousing (운송 및 창고) 비용은 -0.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납니다. 운송과 창고 비용은 7월부터 계속 감소 추세인데요, Trade (도매업자와 소매업자의 마진 변동) 지수도 0.1 상승했지만 8월 대비 많이 감소하였습니다. 대부분은 Other 지수 0.6에서 기인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미국 PPI, 생산자물가지수 (Producers Price Index): 2022년 10월 12일 발표

 

최종적으로 전년 동월 (YOY) 대비 8.5% 상승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식품, 에너지, 거래지수를 제외한 생산자물가지수는 5.6%로 8월과 변동이 없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결국 Foods, Energy, 서비스에서 Other지수가 상승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여기서 사용하고 있는 표는 Summary 내용으로 리포트를 자세히 보시면 각 항목 분류별 생산자물가 지수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9월 미국 PPI, 생산자물가지수 (Producers Price Index)를 항목별로 간단하게 알아보았습니다. 좀처럼 인플레이션이 꺾이지 않는 상황에서 9월 PPI는 전월 대비 상승하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이로써 오늘 발표될 9월 소비자물가지수 CPI를 기대할 수 없는 상황인데요.. 그래도 반전이 있지 않을까 기다리는 마음입니다.

 

세계 경제는 계속 침체하는 모습이고, 유럽 정세는 여전합니다. 미국 연준 FED도 기준금리 인상을 계속해 나간다는 생각은 변함이 없어 보입니다. 이 와중에 한국 금융통화위원회에서는 0.5% 빅스텝으로 인상하여 기준금리 3.0%에 도달하였습니다. 개인적으로 여전히 가계부채가 걱정될 수밖에 없네요.. 많이 어려운 상황이지만 다들 성투하시길 바랍니다.  

 

긴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추가적인 관련된 내용이나 좋은 의견 있으면 언제든지 댓글로 남겨주세요 ^^

 

 

▼ 미국 소비자물가지수 (Consumer Price Index, CPI) 알아보기

2022.07.31 - [CPI 소비자물가지수] - 소비자물가지수 (Consumer Price Index, CPI)

2022.08.10 - [CPI 소비자물가지수] - 소비자물가지수 (Consumer Price Index, CPI) 2022.08.10 발표

2022.09.14 - [CPI 소비자물가지수] - 소비자물가지수 (Consumer Price Index, CPI) 2022.09.13 발표

 

소비자물가지수 (Consumer Price Index, CPI) 2022.09.13 발표

인플레이션이 지속되는 가운데 주요 경제 지표 중 하나인 소비자물가지수(Consumer Price Index, CPI)를 매달 초에 리뷰하고 있습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CPI는 생활에 필요한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변동

s-investor.tistory.com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