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

Bond 채권 투자하기 (2) 투자방법

2석사 2022. 8. 8. 15:08
728x90
728x90

 

  지난 포스팅에서 채권투자를 해서 어떤 방식으로 수익을 얻을 수 있는지 알아보았습니다. 채권은 채권금리에 따른 이자와 매매차익으로 수익을 낼 수 있다고 하였고, 매매차익은 시장에서 채권가격의 변동에 따른 매수가와 매도가의 차익에서 발생한다고 확인하였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에서 참조 부탁드립니다.

 

채권과 기준금리 (1)

전 세계 인플레이션으로 미국 연준 FED의 기준금리 인상은 채권 수익률(Bond yield) 역시 많은 상승을 야기하였습니다. 그 결과 채권 가격은 하락하였는데요, 오늘은 채권 수익률과 채권 가격의 상

s-investor.tistory.com

 

 

Bond 채권투자하기 (국공채, 금융채, 회사채) (1) 수익 발생

예전과 다르게 많은 사람들이 금융과 투자에 눈을 뜬 요즘 부동산, 주식, 암호화폐, ETF 등에 이어 이제는 채권투자까지 손쉽게 가능한 환경이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하루

s-investor.tistory.com

 


 

채권하면 투자금부터 많아야 할 것 같고, 일반인들이 접근하기에는 훨씬 거액의 돈으로 투자해야될 것 같은 인식이 많아서 처음부터 투자대상으로 생각하지 않습니다. 저 또한 채권은 주식을 시작하고 한참 뒤에나 투자하기 시작하였습니다. 하지만 예전에 비하면 채권을 투자하는 방법도 여러가지로 쉬워졌고 진입장벽도 많이 낮아졌습니다.

 

제가 투자하는 방법은 세가지로 간단하게 소개해보겠습니다.  

 

1. ETF 투자

2. 직접 채권 매수

3. 채권펀드 투자

 

 


 

1. ETF 투자

주식을 포트폴리오 구성을 하여 ETF 상품으로 만든 것처럼 채권과 관련된 다양한 ETF가 있습니다. 채권 ETF는 주로 단기채, 중기채, 단기채로 상품이 구성되어 있는데 단기채는 만기가 대략 1~2년 이하의 채권을 말합니다. 장기채는 만기가 5년 이상인 채권이며, 그 중간을 중기채로 구분합니다.

 

그리고 앞서 포스팅에서 알아보았듯이 국채, 회사채, 금융채 등의 종류가 있는데 국채를 연동하는 ETF 상품이 많습니다. 미국 국채를 추종하는 ETF 상품 티커는 SHY(단기채),IEF(중기채), TLT(장기채)이고, 국내에도 KODEX, TIGER 등 다양한 운영회사의 단기채권, 장기종합채권, 국채선물 10년, 중장기채권 등의 상품이 있습니다.  

 

 

2. 직접 채권매수 

채권을 직접매수하는 방법은 채권을 발행할 때 매수하는 방법이 있으나 실질적으로 소액으로 매매하기는 힘들고, 절차도 어떻게 되는지 잘 모릅니다. 그래서 요즘에는 증권사의 MTS나 HTS에서 장외채권을 소액으로 구매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삼성증권 MTS의 채권매수 화면을 예시로 살펴보면, 아래와 같이 신용등급, 매매단가, 표면금리, 만기일, 이자계산주기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신용등급은 보통 BBB 이상이 안전하다고 하며, 등급이 낮아질 수록 위험하기는 한데 금리는 더 높은 경우가 많습니다. 

 

장외채권 매수

 

매매단가는 현재 매매할 수 있는 가격을 말하는데요, 발행당시 가격은 액면가이며, 액면가 대비 지금 가격이 상승했는지 하락했는지 알 수 있습니다. 이 채권은 액면가가 10,000원대비 하락한 상태로 표면금리대비 현재 금리가 상승해서 채권가격이 떨어졌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채권금리와 가격과의 관계는 이전 포스팅 '채권과 기준금리' 편을 참고하시면 도움이 됩니다.)

 

그리고 표면금리가 1.225%로 처음 발행할 때의 이자율이라고 생각하시면 되며, 만기일 2023년 04월 27일까지 8개월 남았고, 이자계산 주기가 3개월이니 남은 만기동안 2~3번의 이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최종적으로 9,870원에 매수한 채권은 만기까지 보유한다면 액면가 10,000원을 돌려받고, 만기까지 8개월동안 이자를 받는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3. 채권펀드 투자 

채권펀드는 퇴직연금이나 IRP 계좌에서 채권을 투자하려고 할 때 많이 사용하게 됩니다. 개인적으로 펀드보다 수수료도 저렴하고 사고 파는데 즉시 거래되는 ETF를 선호하지만 연금계좌 중에 ETF를 거래할 수 없는 계좌도 있어서 펀드로 구매도 자주하게 됩니다.

 

펀드 종류는 주식혼합형, 채권혼합형 등으로 주식과 채권의 비율을 3:7로 편성한다던지, 채권과 다른 종목들을 혼합해서 펀드상품들이 구성되곤 합니다. 역시 다양한 운영사의 많은 상품들이 있고, 적합한 상품을 검색해서 매매하시면 됩니다. 

 

Bond 채권 투자하기 (2) 투자방법

 


 

오늘은 채권(Bond) 을 투자하는 몇 가지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직접 채권을 매매하는 투자 말고는 실질적으로 채권에 직접 투자하기 보다는 채권의 변동성에 투자한다고 봐야 더 올바를 듯합니다.

 

채권가격은 채권금리에 반대로 움직이는 메카니즘을 이용하여 채권의 가격 변동의 차익을 얻는 방식은 장기물의 경우 변동폭이 생각보다 매우 큰 폭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주식만큼 수익률이 괜찮습니다. ^^ 다음 포스팅에도 채권투자에 대해 좀 더 다양한 내용으로 포스팅 해보겠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