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준 FED의 자이언트 스텝 75bp 기준금리 인상 후 힘겨운 장을 맞이하고 있는 가운데 9월 마킷(Markit) 구매관리자 지수 (Purchasing Manager Index, PMI)가 발표되었습니다. 지난 9월 1일에 발표된 ISM의 미국 PMI는 52.8로 8월 PMI 52.8과 별 차이 없이 발표되어 큰 이슈 없이 지나갔습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ISM의 PMI는 매월 초에 발표되고, 매월 하순에는 영국 회사인 마킷에서 PMI를 발표한다고 알아보았습니다. 마킷 PMI는 ISM보다 좀 더 폭넓게 전 세계 국가의 PMI를 발표하기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인플레이션을 잡으려고 너도나도 기준금리를 인상하고 있는 상황에서 그에 따른 각 국의 경제상황이 어떤지 파악할 때 유요한 지표로 생각됩니다.
구매 관리자 지수 (Purchasing Manager Index, PMI) 2022.08.23 발표
오늘은 8월 마킷(Markit) 구매관리자 지수 (Purchasing Manager Index, PMI)를 발표하는 날입니다. 지난번 포스팅에서 *ISM의 PMI는 매월 초에 발표된다고 알려드렸는데요, 매월 하순에는 영국 회사인 마킷에
s-investor.tistory.com
유럽 제조업 9월 PMI는 48.5로 8월 49.7 대비 하락하였고, 서비스 PMI는 48.9로 8월 50.2 역시 하락을 보였으며,
영국 제조업 9월 PMI는 48.5로 8월 46.0 대비 상승하였고, 서비스 PMI는 49.2로 8월 50.9 대비 살짝 하락을 보였습니다.
독일 제조업 9월 PMI는 48.3으로 8월 49.8 대비 하락하였고, 서비스 PMI는 45.4로 8월 48.2 대비 꽤 많은 하락을 보였습니다. (경제 강국 독일이 어쩌다가..)
지난달까지는 서비스 PMI가 50을 깨지는 않았는데 유럽과 영국 모두 40대에 진입을 하였습니다. PMI 지수 50을 기준으로 경기가 양호 또는 나쁘다로 판단하기 때문에 50 이하로 떨어지는 시점은 경기둔화 신호로 봐도 무방합니다. 이를 반영하듯 최근 유로가 급격하게 빠져서 유로-달러 패리티 (Euro-Dollar Parity)는 이미 깨져버렸고, 유로-달러 환율은 바닥을 모르고 떨어지고 있습니다.
미국 제조업 9월 PMI는 51.8으로 8월 51.3 대비 상승! 하였습니다. 서비스 PMI는 49.2로 7월 44.1 대비 역시 상승! 을 보였습니다. 지난달에는 유럽에 비해서 미국이 상대적으로 더 많은 하락을 보였었는데 어떻게 되었는지 미국은 PMI가 상승하였습니다.. 평소 같으면 미국 PMI가 좋게 나오면 경기가 좋다고 판단되어 증시에 긍정적인 반응이 있을 겁니다. 하지만 미국 연준 FED가 기준금리 인상으로 인플레이션을 잡으려는 상황이라 더 적극적으로 긴축을 이어나갈 수 있어 긍정적으로 판단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이에 달러 인덱스가 가장 크게 반영되어 나타난 것 같습니다. 인베스팅 (investing.com) 종가 기준으로 미국 달러 지수 DX는 112.815로 닷컴 버블 당시 고점까지 도달할 정도로 급등하고 있습니다. 물론 영국의 정치적 이슈로 인해 어제 하루 더 크게 움직인 감은 있지만.. 미국만 경제가 튼튼하고 다른 나라들의 경제는 나빠지고 있는 상황에서 미국 기준금리를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그림은 세계 경제에 좋은 방향은 아니라고 생각됩니다.. 경기침체가 빨라질 수도 있습니다.. ㅠㅠ
영 파운드화, 새정부 감세조치에 2% 폭락…1.1달러선 위협
[서울=뉴시스] 김재영 기자 = 영국의 파운드화 가치가 23일 리즈 트러스 총리 정부의 대대적 감세조치에 금융시장이 부정적으로 반응하면서 하룻새 2% 가깝게 폭락했다
mobile.newsis.com
달러 인덱스 U.S. Dollar Index (DXY)
최근 미국 주식에 투자를 하는 사람도 많고 환차익에 직접 투자하는 사람이 많아졌는데요, 미국 연준 FED의 연이은 기준금리 인상으로 인해 U.S. 달러가 강세입니다.. 더군다나 원/달러 환율은 우
s-investor.tistory.com
오늘은 9월 마킷(Markit) 구매관리자 지수(Purchasing Manager Index, PMI)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미국 연준 FED의 9월 기준금리 인상 후 경기침체는 당연한 순서로 생각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이왕 오는 경기침체 빨리 맞고 빨리 회복하면 좋겠지만 최근 킹달러 기조와 미국 경제는 아직 굳건하여 너무 서서히 둔화로 이어지고 있는 게 고통이 길어질 것 같아 걱정됩니다.
이를 그대로 반영하고 있는 게 환시장인 걸로 판단됩니다. 환율은 각 국의 기준금리뿐만 아니라 경제현황 외환보유 등 다양한 요인이 작용되지만.. 특히 경제상태는 그대로 반영되어 나타나기 때문에 킹달러의 끝 모를 급등은 너무 무섭습니다..
긴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추가적인 관련된 내용이나 좋은 의견 있으면 언제든지 댓글로 남겨주세요 ^^
'PMI 구매관리자 지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ISM 비제조업 (서비스) 구매관리자 지수 PMI 2022년 10월5일 발표 (1) | 2022.10.05 |
---|---|
ISM 제조업 구매 관리자 지수 PMI 2022년 10월 3일 발표: 미국 경제도 주춤? (6) | 2022.10.04 |
구매관리자 지수 (Purchasing Manager Index, PMI) 2022.08.23 발표: 마킷, ISM (2) | 2022.08.23 |
구매관리자 지수 (Purchasing Manager Index, PMI)란? (1) | 2022.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