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환

미국 달러 (US dollar) 투자 방법, 환테크: 예금, ETF, 외화RP, 해외선물

2석사 2022. 10. 10. 12:15
728x90
728x90

 

  미국 연준 FED의 계속되는 기준금리 인상으로 인해 달러의 강세가 지속되고 있는데요, 달러 인덱스 (dollar index)는 9/28에 114.7까지 상승하였다가 조금 조정받고 현재 112.7입니다.

 

달러 인덱스는 세계 주요 6개국 (유로, 엔, 파운드, 캐나다 달러, 크로나, 프랑)의 통화와 비교하여 미국 달러의 평균 가치를 나타낸다고 이전 포스팅에서 알아보았습니다. 오늘은 달러 인덱스와 각 국의 환율을 보고 투자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미국 달러 (US dollar) 투자/ 달러인덱스: 예금, etf, 외화RP, 해외선물

 

 

달러 인덱스 U.S. Dollar Index (DXY)/ 달러지수란?

최근 미국 주식에 투자를 하는 사람도 많고 환차익에 직접 투자하는 사람이 많아졌는데요, 미국 연준 FED의 연이은 기준금리 인상으로 인해 U.S. 달러가 강세입니다.. 더군다나 원/달러 환율은 우

s-investor.tistory.com

 


미국 달러 (US dollar) 투자/ 달러인덱스: 예금, etf, 외화RP, 해외선물

 

미국 달러 (US dollar) 투자하는 방법

 

  미국 달러에 투자하는 방법은 이미 많이 알려져 있는 듯 하지만 몇 가지만 간단하게 살펴보면

 

1. 외화예금 상품

 

  가장 직관적인 방법으로 달러를 직접 사서 통장에 예치해두는 방법입니다. 은행마다 환전 수수료 우대가 다르고 예금금리도 조금씩 차이가 나지만 비교해봤자 거기서 거기라.. 대세에 큰 영향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최근에는 증권사에서 미국 주식계좌를 홍보하면서 환전 수수료 우대도 많이 해주기 때문에 증권계좌를 이용하는 것도 한 방법입니다.

 

장점은 세금이 붙지 않고 5천만 원까지 예금자 보호가 되어 안전하게 직접 달러를 사서 가지고 있겠다고 생각하시는 분들한테 적합합니다.

 

2. 달러 관련 ETF/ETN 상품

 

  앞서 알아본 달러지수 (dollar index)에 투자하거나 원/달러 환율 변동에 투자하는 방법으로 ETF/ETN 상품을 이용하는 겁니다. 달러 관련 ETF/ETN은 종류가 많은데 어느 지수 (index)에 추종하는지 잘 살펴봐야 합니다.

 

'KODEX 미국달러선물 (261240)'은 기초지수 정보에 F-USDKRW라고 나와있고,

'신한 달러인덱스 선물 ETN(H)'은 기초지수 정보에 S&P USD Futures Index TR이라고 나와있습니다.

 

원/달러 환율은 우리나라와 미국의 환율 관계를 보면 되지만 dollar index는 미국과 유럽, 일본, 영국 등과 같은 달러 인덱스에 영향을 주는 나라와 미국의 환율 관계를 보고 투자를 해야 합니다.

 

ETF/ETN 장점은 환전 수수료 없이 주식처럼 쉽게 사고팔 수 있다는 것과 지수에 반대로 투자하는 '인버스' 상품으로 숏포지션 투자가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3. 외화 RP (Repurchase Agreement, 환매조건부채권) 투자

    

  환매조건부채권 RP는 증권사가 고객에게 채권을 팔고, 일정기간 후 약정한 가격으로 재매수하는 조건으로 파는 상품입니다. 증권사는 안전한 국공채나 우량 회사채를 고객에게 채권을 판 돈으로 투자한 뒤 수익이 나면 돌려주는 방식입니다.

 

원화채권과 외화표시 채권에 따라 원화 RP와 외화 RP로 분류되는데 외화는 대부분 US 달러로 투자할 수 있는 상품입니다.

 

외화 RP의 장점은 수익률이 확정이라는 것과 단기로 투자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아래 각 증권사의 RP 상품들처럼 약정이율이 정해져 있고, 기간도 수시부터 7일, 8일에서 30일... 365일까지 다양한 기간과 수익률 상품이 있습니다.

 

 

미국 달러 (US dollar) 투자/ 달러인덱스: 예금, etf, 외화RP, 해외선물

 

4. 해외 선물 투자

 

  마지막 방법은 투자를 많이 안 해보신 분께는 추천드리기 위험한 방법인데요, 선물이 뭔지 왜 위험한지는 다음에 설명드리기로 하겠습니다. 우선 제가 해외선물로 외화를 투자하는 이유는 단 하나입니다. 각 나라의 환율 관계 때문입니다.

 

최근 유로-달러 환율이 1.0까지 도달하는 유로-달러 패리티 (Euro-Dollar Parity) 현상에 이어 심지어 1.0이 깨져서 현재는 9.6까지도 하락하였습니다. 그럼 대부분 유로를 사둘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되는데 유로/원 환율을 보면 응? 왜 이런 거죠???

 

미국 달러 (US dollar) 투자/ 달러인덱스: 예금, etf, 외화RP, 해외선물

 

미국 달러 대비 유로 가치가 많이 하락했지만, 우리나라 원화 가치 역시 많이 하락하였기 때문에 유로와 우리나라의 환율 관계에서는 변동이 거의 없고 오히려 상승하는 결과까지 나타납니다.

 

그래서 외화 투자를 하는데 기준 통화를 달러로 하기 위해 해외선물을 합니다. 해외선물 말고도 파생상품이나 FX마진으로 투자하는 방법도 있겠지만 이해 안 되는 금융상품은 안 하는 게 투자원칙이라 공부를 많이 해야 합니다. ^^

 


 

  오늘은 미국 달러 및 외화에 투자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워낙 강달러가 지속되다 보니 '킹달러'라는 용어가 자연스럽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달러도 환율도 사이클이 존재합니다. '달러 스마일 이론(Dollar smile theory)'처럼 언젠가는 다시 적정 수준으로 하락한다고 보고 있습니다. 그 시점은 미국 연준 FED의 기준금리 인상 기조가 방향을 바꿀 때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경제가 혼자서 폭주해도 원/달러 환율은 하락하겠지만요.. ㅎㅎ)

 

다음 포스팅부터는 해외선물로 외화에 투자하는 방법에 대해 조금씩 조심스럽게 알아보겠습니다.

 

긴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추가적인 관련된 내용이나 좋은 의견 있으면 언제든지 댓글로 남겨주세요 ^^

 

 

▼ 10월 2주차 (10/10 - 10/15) 주요 경제지표 일정 보러가기

 

주요 경제지표 일정 (10/10 - 10/15): 미국/독일/중국 CPI, 영국 GDP, 고용지표, 한국 금통위

2022년 10월 첫째 주 (10/03-10/07) 증시 리뷰 이번 주의 키워드 (keyword)는 'Bad news is Good! news'입니다. 시작은 또 영국이긴 한데.. 영국이 전 세계 금융시장에 혼돈을 일으킨 감세정책 일부를 철회한다는

s-investor.tistory.com

 

 

 

728x90
반응형